앱에서 더 구경할 수 있어요
앱에서 볼까요?
앱에서 더 구경할 수 있어요
스마트폰 카메라로 QR코드를 비추면다운로드 페이지로 연결돼요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1편> 1) 달러-원 하락 마감. 신흥통화 혼조세 목요일 밤 달러-원 환율(REGN)은 관세 정책 파장을 가늠하며 전일대비 2원 가량 내린 1,373원 근방 마감. 신흥통화가 엇갈린 방향성을 보인 가운데, 달러-원은 1,370원대 중반을 상단으로 하락세를 유지. 라보뱅크의 Jane Foley는 브라질에 대한 미국의 50% 관세는 “브라질 수출에 상당히 큰 타격을 줄 것이며, 이러한 소식에 따라 통화 약세가 나타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이는 관세와 무역 쪽에 여전히 존재하는 엄청난 불확실성에 대해 시장이 너무 차분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고 언급 2) 룰라, “트럼프는 브라질 존중해야. WTO에 제소할 수도”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브라질 대통령이 미국이 50% 관세 부과를 발표한 것을 비난하며 자국에 대한 존중을 촉구. 룰라 대통령은 브라질이 미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거나 브라질에 수입되는 미국 제품에 똑같이 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음. 룰라 대통령은 “우리는 협상을 시도할 것이지만, 협상이 없다면 상호주의 법칙을 실천에 옮길 것”이라고 발언. 한편, 브라질 재무장관은 미국과의 이해를 모색하기 위한 외교 채널이 열려 있으며 8월 1일까지 관세 상황을 해결하기를 바란다고 밝혔음 3) 데일리, “관세 물가 영향 제한적, 2회 인하 가능”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가 올해 남은 기간 두 차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고 보고 있으며 관세로 인한 물가 영향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본다고 밝혔음. 데일리 총재는 소비자들에게 도달할 때쯤이 되면, 기업들은 전가해야 할 비용이 당초 예상보다 작고 일부는 마진에서 충당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라면서 기업들이 적응 방법을 찾게 되어 큰 폭의 소비자물가 상승은 실현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언급. 반면,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영향이 일회성 상승으로 끝날지 아니면 더 지속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