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에서 더 구경할 수 있어요
앱에서 볼까요?
앱에서 더 구경할 수 있어요
스마트폰 카메라로 QR코드를 비추면다운로드 페이지로 연결돼요
주제토의시리즈 1-1 : 소설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 by 알랭 드 보통 중에서... 이 책을 읽다보면 어쩌면 상투적이고 유치한 젊은이들의 사랑 싸움을 엿보는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사랑이 과연 무엇인가를 묻는 인생에 가장 흔하지만 핵심적인 질문을 접하게 된다 사랑이 무엇인지를 묻는 것은 결국 내가 누구인지를 묻는것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또 사랑을 한다는 것은 서로에게 깊이 들어가는 것, 깊이 알아가는 것이며 사랑하며 일어나는 수많은 갈등과 다툼은 그래서 생기는 문제들일뿐이다 이 책은 그 문제들을 세심하게 파고드는 그야말로 연애해부학의 끝판왕이다 토론 첫번째 주제 입니다 (첨부한 소설지문3장을 차례대로 먼저 보시고 아래 내용 보시기 바랍니다) 1.자유주의와 사랑의 충돌 많은 것을 바라지 않으면서도 깊이 관여하지 않으면서도 즉 서로의 자유를 허락하면서도 사랑하는 관계가 될 수 있을까? 진정 사랑하면 상대를 구속할 수 밖에 없다? 즉 사랑하면 상대의 잘못된 행동을 그냥 그대로 놔둘 수 없기 때문... 서로가 예의바르게만 대해서는 서로 가까와질 수 없는걸까? 상대를 거슬리지 않으면서도 깊이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알랭 드 보통은 사랑은 독재이며 구속이고 그것은 민주주의 (자유주의)안에서 살지 못한다는 듯 말한다 하지만 사랑과 자유주의가 서로 충돌한다고 보는 것은 미숙한 사랑의 위치에서 보이는 모순에 불과한 건 아닐까? 그러나 보통은 "사랑은 서로를 변화시키는 것이고 사랑만이 서로를 변화시킨다"는 철학을 가진듯 하며 현실의 사랑 또한 그런 감정(바램을 자연스레 갖게도 한다 "변화보다 중요한 건 상대에 대한 존중이며 상대방의 자유와 자기결단을 이해하고 수용해야 한다"는 것은 공자 말씀아고 이론에 불과한 걸까? 하지만 상대방이 잘못되는 걸 바로잡으려는 자신의 뜻을 관철하는 게 사랑이라하더라도 여기엔 매너와 슬기로움이 필요한 것 아닐까?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공자말씀, 예수님 말씀을 듣고 싶은게 아니라 여려분의 솔직한 마음의 소리 경험에서 우러난 소리를 듣고자 합니다 남녀간의 사랑뿐 아니라 자식에 대한 사랑, 부모님, 이웃, 나아가 나라사랑, 인류애에 관한 것이라도 좋습니다 *** 소설을 읽지 않은 분들을 위해 댓글창에 소설에 대힌 제 감상평을 실어 놓았습니다 그걸 보시고 대략 감을 잡으시면 토론에 도움이 되실듯요
댓글 1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 알랭 드 보통 - 1.이 책을 선정하고 읽기 전까지는 남여간의 사랑 즉 연애가 내 인생에 아주 중요한 측면을 돌아보는 심오한 의미가 있을 줄은 전혀 생각치 못했다 이제껏 살아오며 가장 열정적으로 그리고 진심을 다해 풀고자 했던 방정식이 바로 사랑이 었다라는 생각과 동시에 풀다만 그 방정식을 마저 풀어보고픈 열정에 사로 잡히게 된 것이다 그런 생각을 들게 한 건 알랭 드 보통의 화법이었다 그는 사랑하면서 느끼게 되는 복잡 미묘한 감정과 생각을 오롯이 그 특유 화법으로 담아내는 집요하고 재치있는 글솜씨를 가졌다 (이는 솔직함을 강조하는그의 글쓰기의 태도에서 비롯된다 할 수 있다) 그는 마음의 심연을 숨김없이 그 모양 그대로 담는... 진실한 글쓰기의 능력과 태도를 모두 갖춘 작가인 것 같다 그리고 애틋한 연애이야기를 하려했다기 보단 사랑 자체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어한 것 같아 내 구미에도 딱 맞았다 (사실 연애 이야기라면 내자신의 연애 얘기만한 애틋하고 절절한 것은 없지 않을까 ㅋ) 아주 상투적인 연애스토리를 가져온 것 또한 독자들이 스토리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도록 의도한 것이고 결국 그는 사랑 자체에 대해 얘기하고 해부해보고 싶었던 거 같다 그럼에도 그의 책은 어떤 사랑이야기보다 재미있고 낭만적이다 2.사랑은 진부한 소재다 너무도 흔하지만 또 제대로 하는 사람이 없는 게 사랑 아닐까 운명적인 짝을 잘 만나야 잘될거라는 믿음, 격정적인 감정, 한눈에 반하는 신비! 라는 허황된 것들로 버무려진게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이다 상대를 진정으로 사랑하려 하기보다 그저 사랑을 사랑하는... 그럼에도 사랑이 배움과 능력이 필요한... 그래서 제대로 사랑하기엔 우리가 너무도 부족하다는 걸 깨닫는 사람은 별로 없는듯하다 감정만 있으면 할 수 있는 게 사랑이며 자신을 매력적으로 가꾸거나 사회적으로 성공하면 사랑을 잘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맘에 드는 상대를 잘 만날 수 있을 거라는 기대) 나아가 자본주의적 교환경제에 물든 사랑 즉 쇼핑하듯이 조건을 비교하며 사랑을 찾아 헤매는걸 당연시한다 3.이 소설에서 둘의 사랑도 크게 다르지 않다 잘 삐지고 때로 이기적이며 집착이 강한 젊은이들의 미숙한 사랑이다 상대를 과장하고 이상화시키거나 또는 모순적인 마르크스주의자이고 그러다 결국 딴 남자에게 눈돌리며 속이고 배신하는 우리가 흔히 보고 겪은 사랑이다 이런 사랑을 해부하는 보통의 자세는 사못 진지하고 냉정하지만 동시에 낭만적이며 유머러스하고 나아가 따스한 인류애를 담고 있다 진짜 사랑, 완전한 사랑에 대한 물음이다 하지만 완성된 인생이 있을 수 없듯이 완벽한 사랑도 없다 인생이 진행형이듯 모든 사랑도 현재 진행형일 뿐이다 결국 사랑은 그 사람의 인격의 총화이며 따라서 사랑은 그 사람의 인격을 닮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모난 인격에선 모난 사랑이 부드러운 인격에선 부드러운 사랑이.. 난 이소설의 결론 없는 결론에 조금 당황하며 보통이 자잘한 말의 유희에 빠져서 본디 의도했던 사랑에 대한 진지한 탐구가 길을 잃은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혹시 내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게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어 또 다른 보통의 사랑이야기 "우리는 사랑일까"를 정독해봤다 4.첫소설보다 더 열씨미 쓴 것 같지는 않지만 1년 사이 조금 더 성숙해지고 가지런해진 느낌? 남의 생각에 의존해 자기의 삶을 사는 여자 앨리스와 성공해야만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는 믿음속에 사는 자기중심적 남자 에릭이 벌이는 뻔한 사랑이야기... 만남- 집착-이별이라는 공식도 첫소설과 동일하다 다만 화자(주인공?)가 남자에서 여자로 바뀌었을 뿐(하지만 여자가 떠나고 남자는 벙쩌서 왜?라고 외치는 상황은 똑같다 ㅋ 이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진리^^) 다만 여기서는 남녀의 첨예한 캐릭터의 대립이 흥미롭다 약자에게 연민을 느끼는 걸 싫어하는 나쁜남자 에릭, 읽기 힘든 책이 매력 있는것처럼 연인에게 딴청을 잘부리는 시크한 매력남이며 다정하거나 친절함과는 거리가 있는 츤데레?(회피형 애착) 반면 앨리스는 사랑에는 냉소적이고 도도한척 하기도 한 여자였지만 에릭에게 사랑에 빠지며 자기처럼 지루한 사람은 없을거라 자책하고 에릭으로부터 사랑의 보증서를 받아내려는 애닯은 노력을 계속하는 청순가련파(불안형 애착) 결과가 뻔할 이 사랑을 보통은 지극히 당연한 결과 즉 이별과 새로운 연인과의 만남으로 몰아 간다 앨리스가 에릭에게 실망하고 마음의 혼란을 겪고 있을 즈음에 다른 사람과 대화중인 에릭을 보고 불현듯 "그이도 다를 바 없는 인긴이구나"를 깨달으며 사랑의 결정적 마침표를 찍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남자, 올곧고 순진한 필립(안정형 애착?)과의 어정쩡한 만남을 시작한다 새로운 사랑의 시작은 확실치 않다 하지만 전략이나 기교와는 거리가 먼 어쩌면 재미없고 매력없는 필립과의 만남은 이 사랑이야기를 어떻게 만들어갈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물론 소설로서는 재미없는 얘기가 확실하겠지만 철학의 관점에서 궁금해진다ㅎ 보통은 묻는다 사람이 사랑을 받는 이유가 무얼까 육체, 돈, 이뤄놓은 일, 나약함, 세세한면, 불안감, 두뇌 등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결국은 존재자체가 아닐까하고... 5.사랑에 대한 그의 생각을 더 알아보고자 "(지위)불안"이란 에세이도 읽어 보고 그의 강연 도 찾아 들어 보았다 글과 강연을 통해 알 수 있었던 보통의 사링에 대한 신념은 어린시절 내 생각의 바탕이 되었던 에리히 프롬적 사랑관 즉 '주는 사랑' '존재적 사랑' '배우고 훈련하는 기술과 능력으로서 사랑' 에 대한 믿음이었다 철학서처럼 썼지만 이 책은 어떤 주장이나 이론을 설한 철학서가 아닌 사랑을 있는 그대로 얘기하는 《소설》이란 쟝르임을 재확인했다 사랑의 이데아 즉 바람직한 사랑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걸 말해주려는 의도도 없었고 가능치도 않은 것이다 나는 사랑이 수학의 7대 난제 중 하나인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처럼 풀리지 않는 방정식임을 인정한다 하지만 풀리지는 않을지라도 풀어가는 재미가 솔솔한 사랑의 방정식을 꾸준히 풀어갈 것이다 그 답은 내 인격만큼, 그리고 그 모양대로 나올 것이다 알랭 드 보통이 2015년 우리나라를 방문 GMC 강연 시 한 방청객 질문에 대해 그의 글쓰는 태도에 관하여 언급했는데 매우 인상적이어서 사족으로 담는다 그는 청중의 질문에 이렇게 답한다 "나도 여러분과 똑같이 부족하고 비정상적 사람이다 다만 다른 건 그걸 글로 쓰는 사람이란거다 글쓰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건 솔직함, 자신이 겪은 상황에 대한 솔직한 고백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사랑이란 자신이 약자(乙)가 되는 것 즉 더 사랑하는 것이다"